본문 바로가기

JAVA/자바랑 친해지길 바래

Spring MVC 구조 간단정리 controller, service, dao, dto

반응형

스프링으로 게시판을 만들기 전에 spring mvc 구조를 공부 해 보았다. 처음에 만들때는 MelonPeach님 블로그를 따라하면서 어떻게 동작되는지도 모르는 상태로 개발을 했었기 때문에 머릿속에 남는게 하나도 없었다. 이제는 조금 느리더라도 공부하면서 개발을 해보려고 한다. 

 

 

controller

 

controller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어떤 처리를 할것인지 결정하는 역할이다. controller 가 Service를 호출한다.

 

service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객체이다. 데이터베이스 처리를 위해 DAO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요청한다. 

 

*비즈니스 로직 : 비즈니스 로직(Business logic)은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실세계의 규칙에 따라 데이터를 생성·표시·저장·변경하는 부분을 일컫는다. 

 

DAO

DAO는 Data Access Object의 약자로 DB의 data에 접근하기 위한 객체이다. DAO는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TO

 

DTO는 Data Transfer Object 의 약자로 계층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Java Bean을 말하며 VO(Value Object)와 유사한 특징이 있다. 하지만 VO는 setter가 없는 불변객체라는 점에서 DTO와 다르다. 

 

 

반응형